"보이지 않는 손"은 경제학자 애덤 스미스(adam smith)가 18세기에 저술한 경제학의 걸작인
"국부의 근원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s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개념으로서 시장 경제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 개념을 통해 경제 주체들의 자기 이익 추구와
시장의 자율적인 원리가 경제 활동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설명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은 경제 시스템이 마치 자연적인 법칙과 같이 작동하여
자원의 효율적이 분배와 생산성 증진을 이루어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 경제에서는 수많은 개인과 기업이 서로 경쟁하면서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이들 경제 주체들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 하므로 효율적인 생산과
자원 할당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경쟁적인 행동들이 마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조정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 개념을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이름으로 부릅니다.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원리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경쟁과 시장
경제 주체들의 경쟁이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고
자원의 효율적인 할당을 이끌어냅니다. 경쟁은 생산성과 혁신을 촉진하며, 소비자들에게 다양하고
저렴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율적 의사결정
보이지 않는 손은 경제 주체들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강조합니다.
각 개인과 기업은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경제 활동을 수행하며,
이들의 행동이 시장에서의 자원 배분에 기여합니다.
자원의 효율적 사용
시장 경제에서 경쟁과 가격 메커니즘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이끌어내는데,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국분의 총생산량이 증가합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번영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분산된 의사결정
시장 경제에서 의사결정은 중앙 집중화되지 않고 분산되어 이루어집니다.
개인과 기업의 선택과 행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들의 합리적인 선택과 경쟁이
시장 전체를 조정하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은 경제 시스템의 모든 측면에서
완벽한 결과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경제 시장은 정보의 불완전성, 외부 경제 영향, 시장 실패 등과 같은 문제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의 외부효과를 고려하여
환경 규제나 공공재 제공을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작년 쌀 생산량에 비해 올해의 쌀 초과 생산분이 일정량을 넘어섰을 때
초과량의 일부를 정부의 판단하에 일정량 매입하는 양곡관리법이 있습니다.
이처럼 경제의 안정을 위해 정부가 개입하는 경우가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을 잘 적용시키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때
궁극적인 경제의 안정을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시키고
경제 주체들의 자율적인 판단을 통해서 경제가 안정화되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영향이나 정부의 개입 같은 변수의 개입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일 때
시장 경제는 마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연적으로 안정을 되찾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든 상황이 이상적인 상태에 한정된 이론이며 현실의 상황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이론이기 때문에 해당 이론을 통해 모든 현상을 이해할 수는 없지만
시장 경제의 원리를 이해하고 경제 주체들의 자율성과 시장 메커니즘의 역할 등
경제 주체들의 행동과 의사결정이 어떻게 경제 활동을 조정하고
효율성을 증진시키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로존과 그리스 금융위기 (0) | 2023.07.05 |
---|---|
모럴 헤저드 (0) | 2023.07.04 |
달러패권과 크립토 (0) | 2023.07.02 |
종이 빨대와 ESG (0) | 2023.07.01 |
미다스의 손과 경제적 자유 (1) | 2023.06.30 |